협회소식


회원언론기고





한일관계의 재인식/홍순영

페이지 정보

조회 조회 1,304회 작성일2011-05-10 16:04:00

본문

1.보는 견지에 따라서 일본은 강대국 지향이며 나아가서 장래가 약속된 가능성의 나라이다. 그러나 다른 견지에서 보면 일본은 자기 미화(self-glorification)의 나라이며 자기를 탈출하여 가치의 근본을 추구하고 자기의 완성을 추구하기를 주저하는 나라이다. 제2차대전 후에 패전한 일본이 미국의 향도 하에서 나라의 질서를 다시 잡고 세계 제2의 경제대국으로 성장하던 과정을 보면 일본은 위대한 가능성의 나라이다.
  
경제대국으로 성장하는 모든 과정에서 일본 사람들은 겸양하며, 정직하고, 부지런히 일하고 노력하였다. 전후에 출간된 ‘고미가와 준페이’의 ‘인간의 조건’이라는 장편소설은 군국주의의 독선과 패역을 고발하고 인간의 존엄성을 추앙하는 위대한 미래를 지향하는 새로운 일본을 제시하는 감동적인 그림이었다. 그 정신 밑에서 일본이 다시 일어선 것이라고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고 있다.

경제개발에 성공한 일본은 엄청난 원조와 투자를 아시아 제국에 제공하고 아시아에서의 지도자국가를 지향하였으나 아시아 제국에 대한 침탈과 지배, 군국주의, 천황종교(신토이즘) 강요에 관하여는 재론하고 참회하지 아니하였다. 그것이 오늘에까지 이르고 있다. 이 점에서 일본은 아직 2차대전의 그늘 속에 있다. 히로시마를 아직도 원폭의 피해자로 보고 독도를 아직도 일본영토로 주장하고 있다. 그러면서 일본은 과거에 그랬던 것처럼 서양의 과학기술을 잘 수용하고 겸양하고 정직하고 질서를 존중하는 일본인의 성품으로 계속하여 꾸준히 성장·번창하고 있다.

2.이러한 일본을 어떻게 보고 어떻게 한·일관계를 관리하여 나가야 하는가. 우선 현재의 일본은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나라이다. 그리고 한국은 경제개발의 과정에서 일본의 원조와 지원을 받아 왔다. 현재에 국한하여 한·일관계를 보면 한국과 일본은 앞으로 지향하는 가치의 동반자요 상호협력을 추구하여야 하는 이익의 동반자이다. 일본이 인간의 존엄성이라는 높은 가치를 지향하면서 그 틀에서 과거사를 반성하고 청산하는 일은 일본의 몫이다. 이 일에 성공하기 전에는 일본은 아시아의 지도자 국가로서 아시아 공동체의 존경과 사랑을 받는데 한계가 있을 것이다.

이것을 한국이 강권할 수는 없다는 점을 염두에 두면서 우리는 한·일관계가 상호 협력의 동반자 관계로 지속적으로 발전하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는 동안 한국은 자유민주주의의 가치관과 제도를 확고히 하는 일에 최선을 다하여야 할 것이다.

3.일본은 한·일관계의 맥락에서만 중요한 것이 아니다. 일본은 동아시아 공동체의 중요한 일원이다. 동아시아 공동체는 큰 틀에서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공동체로 성장하고 있다. 일본은 동아시아 공동체를 넘어 언젠가는 세계경제의 중요한 선도국가로 나갈 것을 내다 보고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모든 변화와 성장의 과정에서 일본은 아직은 예측할 수 없는 어느 시점에 나라의 정통성과 도덕성을 새롭게 세우는 정신 혁명을 거쳐 세계의 지도자 국가가 될 것을 내다 보게 될 것이다.

4.한국은 일본통치의 시대를 지나 광복 이후 겪었던 긴 나라분단의 수난과 나라건설의 노력을 거쳐 이제 선진한국의 문턱에 서 있다. 한국은 이제 민주 일본과 대등한 자세로 마주 보고 있는 것이다. 과거를 어떻게 청산하고 미래를 어떻게 건설하는가는 각국의 과제로 미루어야 한다.

그러나 그 과제접근의 기본에는 인간의 존엄성 그리고 자유민주주의의 가치관이 있다는 것을 우리가 다 잘 알고 있다. 한·일양국이 역사의 흐름을 타고 언젠가는 가치의 동반자 관계를 함께 추구하는 이웃나라가 될 것이다. 긴 안목으로 한·일관계를 내다 본다.

홍순영 전 외교부·통일부 장관

서울신문 칼럼/2008년 6월 2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266건 125 페이지
회원언론기고 목록
번호
제목
일자 조회
26
객관성·공정성 결여한 앰네스티/김용규    일자 2011-05-10 | 조회 1303
2011-05-10 1353
25
미국의 외교, 어디로 가나/윤영관    일자 2011-05-10 | 조회 1178
2011-05-10 1228
24
북한 비핵화에 가로놓인 난제들/윤영관    일자 2011-05-10 | 조회 1222
2011-05-10 1272
23
독도 문제, 한 차원 높게/공로명    일자 2011-05-10 | 조회 1226
2011-05-10 1276
22 2011-05-10 1388
21 2011-05-10 1279
20 2011-05-10 1182
19
대북정책 어떻게 할 것인가/윤영관    일자 2011-05-10 | 조회 1146
2011-05-10 1196
열람중
한일관계의 재인식/홍순영    일자 2011-05-10 | 조회 1305
2011-05-10 1355
17 2011-05-10 1239
게시물 검색







한국외교협회 | 개인정보 보호관리자: 박경훈
E-mail: kcfr@hanmail.net

주소: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94길 33
TEL: 02-2186-3600 | FAX: 02-585-6204

Copyright(c) 한국외교협회 All Rights Reserved.
hosting by 1004p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