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글





유주열 / 바이칼 호 탐방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2018-11-08 11:20 조회906회 댓글0건

본문

유주열 전 주 나고야 총영사

바이칼 호는 우리 민족의 시원(始原)인가

풍요로운 자연호수 바이칼 호

 

 

중앙아시아의 지도를 펴 놓고 보면 남북 636km 동서 20-80km 면적은 남한의 1/3 정도의 기다란 호수가 비스듬히 누워있다. 현지인들은 자연이 만든 풍요로운 호수라는 의미로 바이칼 누르(湖)라고 부른다. 이 호수가 생성된 지는 2천500만 년 전이었으나 지금도 변화가 없다. 대부분의 호수는 오래되면 퇴적물에 메워져 없어진다고 하는데 바이칼 호는 단층 호수로 호수의 바닥이 계속 침하되어 깊이를 더해 간다고 한다. 지구에서 가장 오래 된 최대의 담수호로 수심이 가장 깊은 곳이 1,642m이다. 호수의 자정 기능이 좋아 투명하여 호수 바닥이 보일 정도로 마셔도 되는 깨끗한 물이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다.

고고학자들에 의하면 인류가 체격은 허약하나 맹수들과 싸워 이겨 생존하게 된 것은 돌을 이용한 도구를 사용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돌을 깨트려 예리한 날을 통해 사냥을 했을 때를 일반적으로 구석기라 하는데 후기 구석기에는 깬 돌에서 나온 지금의 칼날처럼 좀 더 예리한 돌조각 즉 좀돌(細石)날을 이용하여 진전된 사냥도구를 만들었다고 한다.

바이칼 호는 물이 깊고 깨끗해 많은 동물들의 식수원으로 제공되었다. 3만 년 전 동물을 쫓아 바이칼 호 주변에 모여 살던 후기 구석기 인류들이 남하하여 한반도에 주거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일부는 사냥감을 쫓아 일본 규슈로 건너갔다. 당시 지구는 빙하기로 한・일 간에 가로놓여 있는 바다는 모두 얼어 있었다.

 

 

바이칼 호를 다시 만나다

 

 

지난 8월 중순 서울의 폭염을 뒤로 하고 바이칼 호에 갔다. 수년전 베이징 대사관에 근무 시 모스크바에서 베이징까지 열차 여행을 한 경험이 있어 바이칼 호를 만나는 것은 두 번째다. 당시 시베리아 횡단열차(TSR)를 타고 울란우데까지 갔다가 몽골종단철도(TMR)를 따라 베이징으로 돌아왔다. 그 때 시베리아 횡단열차 구간인 이르쿠츠크에서 울란우데까지 차창을 통해 바다와 같은 바이칼 호를 반나절 이상 만난 적이 있다.

이번에는 이르쿠츠크에 3박하면서 당시 차창으로 보았던 바이칼 호에 손을 담구고 유람선도 타면서 바이칼 호의 고유 어종인 ‘오물(Omul)’을 시식하기도 했다. 바이칼 호의 중간쯤에 위치한 알혼 섬에서도 2박을 하면서 태고 때와 변함없는 바이칼 호와 함께 아직 개발이 안 된 섬의 최북단까지 둘러보았다.

 

 

바이칼 호의 지배자

 

 

바이칼 호의 지배자로 역사의 기록에 처음 나오는 민족은 초원의 대제국을 건설한 흉노족이었다. 한나라 무제의 명령으로 사절로 갔다가 흉노 왕 선우에 의해 바이칼 호(당시 지명은 북해)로 귀양 가서 19년에 걸쳐 양치기를 하다가 풀려나 귀국한 소무(蘇武)의 이야기가 유명하다.

그 후 흉노족의 일족인 거란(契丹)족이 이곳을 지배하였다. 러시아에서 중국을 ‘키타이’라고 부르는 것은 거란족에서 유래한다. 불멸의 대 영웅 징기스칸이 이 곳에서 태어나 거란족 지배하에 있던 몽골족을 통일하여 대제국을 세웠다고 한다. 몽골 제국은 바이칼 호를 넘어 동시베리아를 거쳐 러시아를 침입하였다. 징기스칸 군대는 러시아의 류리크 공국을 멸망시키고 헝가리 폴란드 등 동유럽까지 진출한다. 지금도 바이칼 호의 주변에는 몽골족의 일부인 브랴트족이 과거의 영광을 말해주고 있다.

몽골의 세계 대제국이 무너지면서 동유럽과 러시아의 몽골족은 뿔뿔이 흩어진다. 중국에서는 몽골의 원나라가 망하고 그 뒤를 이은 명나라 는 중앙아시아에 대해 관심이 없었다. 바이칼 호는 태초처럼 다시 무주지로 남게 되었다. 이때 18세기 러시아의 코사크가 모피 사냥꾼과 같이 이곳에 나타났다. 코사크는 15세기 이후 제정러시아의 농노제에서 도망간 몰락 귀족으로 형성된 군사공동체다.

당시 소빙하기를 맞이한 유럽은 추위에 떨고 있었다. 난방 시스템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아 한 겨울에 체온을 유지할 있는 것은 모피뿐이었다. 유럽의 왕실과 귀족들은 선호하는 모피는 부르는 게 값이었다. 러시아의 사냥꾼은 모피를 찾아 시베리아를 횡단하고 알라스카까지 진출하였다. 러시아의 모피 사냥꾼이 바이칼 호의 마지막 지배자가 된 셈이다.

 

 

바이칼 호와 한민족

 

 

바이칼 호는 우리에게도 특별한 의미가 있다. 바이칼 호는 자작나무숲을 떼고는 이야기 할 수 없다. 끝없이 펼쳐진 자작나무 숲을 보니 어쩐지 기분이 상쾌하고 마음이 편안하였다. 바람도 없는데 팔랑거리는 자작나무 잎새를 보면 신라 왕관에 장식되어 흔들리는 원형 황금조각이 연상되었다.

신라인들이 바이칼 호 근처에서 살다가 한반도 남쪽으로 내려 왔을 것으로 추정된다. 자작나무를 보고 편안해 지는 것은 우리 몸속에 흐르는 피가 수만 년 전 자작나무를 기억하고 있는지 모른다. 현지인이 몸에 좋다고 권하는 차가버섯이 실은 자작나무에 기생하는 암 덩어리라고 한다. 차가버섯이 늘어나면 자작나무 숲이 망가진다고 하니 갑자기 차가버섯이 싫어졌다.

바이칼 호가 우리민족의 시원(始原)임을 밝힌 사람은 역사가 최남선이다. 그는 일제가 우리 고대 역사를 말살하는데 대항코자 우리 민족의 시원이 바이칼 호에서 시작됨을 주장하였다. 최남선과 함께 잡지도 만든 이광수는 바이칼 호를 가보고 싶어 했다. 당시 바이칼 호를 가기 위해서는 시베리아 횡단철도를 이용하면 된다. 극동의 시발지는 블라디보스톡이었다.

이광수는 블라디보스톡에서 열차를 타고 울란우데나 이르쿠츠크에 가서 바이칼호수를 둘러 봤는지 모른다. 그가 1930년대 일간지에 인기리에 연재한 ‘유정(有情)’이란 소설은 바이칼 호에서 시작하여 바이칼 호에서 끝난다. 소설 도입부에 최석이라는 사람이 바이칼호반의 현지인 브랴트족의 집에서 민박하면서 편지를 쓰고 있다. 삭풍이 몰아치는 바이칼 호의 겨울 풍경은 가보지 않고는 쓰기 어렵다고 생각된다.

바이칼 호는 과거 소련 땅으로 가볼 수 없었지만 1990년대 우리나라가 소련과 수교함으로써 바이칼 호는 3시간 남짓 비행으로 비교적 쉽게 가볼 수 있는 지역이 되었다. 서울이 폭염에 시달리는 하절기에는 이 지역으로 가는 항공편은 한국 관광객으로 만석이라고 한다.

바이칼 호에서 가장 큰 섬인 알혼 섬에 가보니 현지 브랴트족의 민속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우리의 나무꾼과 선녀의 전설처럼 브랴트족의 젊은 샤먼(무당)과 백조처녀의 전설이 전해지고 있었다. 백조 3마리가 하늘에 내려와 옷을 벗자 젊은 여인이 되고 그들이 목욕을 하는 것을 몰래 훔쳐 본 샤먼이 옷 한 벌을 훔친다.

백조 옷을 잃어버려 하늘로 올라가지 못한 여인은 샤먼과 결혼해서 11명의 아들을 두었다고 한다. 어느 날 샤먼이 중년이 된 부인에게 훔쳐 숨겨 둔 옷을 꺼내 보이자 부인은 반가워하면서 백조 옷을 입더니 ‘게르’의 연기 구멍을 통해 하늘로 날라 가버렸다. 샤먼이 혼자 키운 11번째의 아들이 남쪽으로 내려가 지금 우리 민족이 되었다고 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4건 1 페이지
회원글 목록
번호 제목
24 이경구 / 빅 아이런드(Big Island)를 찾아서
일자: 08-19 | 조회: 612
2020-08-19
612
23 최석신 / 진실의 증언 (真実の証言)
일자: 01-13 | 조회: 2998
2020-01-13
2998
22 서현섭 / 나의 수호천사
일자: 11-19 | 조회: 1023
2019-11-19
1023
21 이경구 / 내 인생의 징검다리
일자: 06-20 | 조회: 855
2019-06-20
855
20 이경구 / 역사의 거울 앞에서
일자: 11-20 | 조회: 1166
2018-11-20
1166
열람중 유주열 / 바이칼 호 탐방기
일자: 11-08 | 조회: 907
2018-11-08
907
18 이경구 / 애리조나호 기념관 방문기
일자: 07-04 | 조회: 1040
2018-07-04
1040
17 서용현 / 트럼프-김정은 회담: 너무 들뜨지 말자
일자: 04-13 | 조회: 1230
2018-04-13
1230
16 이경구 / 'We the People'을 찾아서
일자: 01-19 | 조회: 2139
2018-01-19
2139
15 이경구 / 안개 낀 노량진역
일자: 01-05 | 조회: 1238
2018-01-05
1238
게시물 검색







한국외교협회 | 개인정보 보호관리자: 박경훈
E-mail: kcfr@hanmail.net

주소: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94길 33
TEL: 02-2186-3600 | FAX: 02-585-6204

Copyright(c) 한국외교협회 All Rights Reserved.
hosting by 1004p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