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 언론기고 및 출판





<외교열전> JFK가 박정희 방일 요구했다 / 정일영

페이지 정보

작성일2012-11-30 13:45 조회1,842회 댓글0건

본문

 

외교열전 "JFK가 박정희 방일 요구했다"

<?xml:namespace prefix = v ns = "urn:schemas-microsoft-com:vml"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한일회담 설명하는 정일영 전 차관

(서울=연합뉴스) 강병철 기자 = 정일영 전 외무부 차관이 5일 서울의 자택에서 진행된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한일회담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2012.11.5. soleco@yna.co.kr

박정희ㆍ이케다 회담 비사..정일영 전 외무부 차관 회고

(서울=연합뉴스) 강병철 기자 = "내일 첫 비행기로 즉시 귀국 바람"

1961년 10월 10일께. 일본 도쿄에서 6차 한일회담(61년10월~64년4월)을 준비하고 있던 배의환 회담 수석대표와 정일영 당시 서울대 교수(전 외무부 차관)에게 \'급거 귀국\'하라는 명령이 외무부 본부로부터 날아왔다. 회담 준비차 일본으로 건너간 지 2주밖에 안 됐을 시점이었다.

바로 직전에 5ㆍ16쿠데타로 5차 회담(60년10월~61년5월)이 갑자기 종료됐던 터라 정부 대표단 일원인 정 교수는 큰 궁금증을 안고 서울로 들어왔다. 들어오기 전까지는 귀국 사유에 대해서는 "비밀"이라는 말만 들을 수 있었다.

그는 입국 후 장충동 동국대 입구에 있던 국가재건 최고회의 의장공관으로 안내됐다.

거기서 박정희 당시 최고회의 의장과 김종필 중앙정보부장과 대면했다.

한일협정의 기본 틀을 만든 것으로 평가되는 박 의장과 이케다 하야토(池田勇人) 일본 총리 간 회담은 그렇게 역사 속으로 모습을 드러냈다.

◇JFK "미국 오는 길에 일본 들렀다가 오라" = 의장실에 있는 박 의장과 김 부장은 유쾌한 표정으로 정 교수 일행을 맞았다.

박 의장은 "미국에서 통지가 왔는데 존 F. 케네디 대통령이 만나자고 한다"고 운을 뗐다.

그러면서 케네디 대통령이 방미 조건으로 "미국에 오는 길에 도쿄를 들러 이케다 총리와 이야기 좀 하고 오라"고 한 사실을 언급했다.

정 교수는 그 자리에서 그간 한일 회담 경과와 이케다 총리와의 회담시 의제 등에 대해 설명했다. 그리고 명동 거리로 나가 저녁을 해결하고 다음날 일본으로 되돌아가 회담 준비에 착수했다.

박 의장은 케네디 대통령의 요청대로 미국을 방문하는 길인 1961년 11월11일 도쿄로 가서 그 다음 날 이케다 총리와 회담을 했다.

당시 공산주의에 맞선 자유진영 결속 강화를 위해 미국이 한일 수교에 공을 들인 것은 알려진 사실이지만 박ㆍ이케다 회담의 이런 배경은 2005년 한일회담 외교문서 공개에서도 알려지지 않았던 측면이다.

당시 외교문서 상에는 정부가 \'자주 외교\'라는 평가를 얻으려고 고심 끝에 일본을 전격 방문한 것으로 나왔다.

최덕신 당시 외무장관이 10월23일자 보고서를 통해 "일본과 입장이 흡사한 미국에 방문한 뒤 한일 수교가 되면 자주성 없는 외교라는 세간의 평을 초래할 수 있다"면서 선(先) 한일 회담 필요성을 강조한 것이 이런 평가의 큰 이유가 됐다.

그러나 당시 김종필 부장이 일본을 방문, 자민당 인사들에게 "이케다 수상이 박 의장을 초대해 고급 정치회담을 열면 어떠냐"고 제안한 것이 10월24일이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최 장관 보고서 이전부터 박 의장의 방일 검토가 정부 내에서 진행됐을 것으로 분석된다.

정일영 전 외무부 차관은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박 의장의 방일이 케네디 대통령의 권유 때문에 최종적으로 결정된 것인지 대해서는 "나는 당시 (모든 상황을) 알 수 있는 위치가 아니었다"고 회고했다.

그는 "다만 이케다 총리가 공항까지 나가 박 의장을 맞이하고 그 자리에서 환영사를 낭독하는 등 파격적인 의전을 한 것을 보면서 워싱턴의 입김을 느꼈다"고 말했다.

◇朴의장 "일본이 몇억 달러나 내놓겠나" = 1961년 11월 11일 일본을 찾은 박 의장은 이케다 총리와의 회담 전날인 그날 밤 숙소인 영빈관에서 2시간가량 정 교수와 독대했다.

정 교수로부터 그동안의 회담 진행 경과 등에 대해 다시 설명을 들은 그는 정 교수에게 "일본이 몇억 달러나 내놓겠나"라고 물었다.

정 교수는 "그렇게 간단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일본의 대응 전망을 설명했다. 일본이 현찰로 달러를 주지는 않으려고 할 것이며 대신 물자나 산업 노하우를 가져올 것이란 것이 그의 전망이었다.

정 교수는 박 의장에게 "그 경우 우리 산업 및 경제가 일본화할 우려가 있다"는 점도 설명했다.

그의 전망대로 이케다 총리는 12일 회담에서 현금이 아닌 산업 건설을 해주겠다는 이야기를 꺼냈다. 그 명목도 배상이 아닌 경제협력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이에 대해 박 의장은 "우리는 구걸하려는 것이 아니라 받을 것을 받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박 의장은 청구권 문제에 대해 "충분한 법적 근거가 있는 청구권"이라면서 "상당한 액수의 청구권을 한국이 갖고 있는데 일본이 5천만달러를 운운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지적했다.

이케다 총리는 "법적 근거가 확실한 항목에 대해서만 청구권을 지불하고 그 외 항목은 무상원조로 하고, 국민감정상 곤란할 경우 경제협조 등의 명목으로 저리차관을 제공하는 것도 방법일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 회담에 통역으로 참여했던 정 전 차관은 "박 의장은 당시 통역이 필요 없었는데도 내게 통역을 시켜 회담시 생각할 시간을 벌었다"면서 "박 의장은 추후에 친일파니 비밀회담이니 하는 비판이 나올 수 있다는 것을 의식했는지 회담 내내 결백한 태도를 취했다"고 전했다.

정 전 차관은 "회담에서 배상 문제와 함께 청구권조로 받느냐 경제협력조로 받느냐는 말이 오갔고 결국 `청구권 및 경제협력\'이 된 것"이라면서 "한일 청구권 협정의 윤곽은 그때 잡힌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1965년 체결된 \'한일 재산 및 청구권 해결과 경제협력에 관한 협정\'의 근본 성격이 이 회담에서 정해졌다는 뜻이다.

알려진 대로 이 협정의 구체적인 내용은 박정희ㆍ이케다 회담 1년 뒤에 열린 김종필ㆍ오히라 마사요시(大平正芳) 회담(1962년 11월)에서 정해졌다.

◇일본의 거듭된 `몽니\' = 국제법을 전공한 정 교수가 한일회담에 처음 참여하게 된 것은 5차 회담 때부터였다.

일본은 회담에서 자국만의 논리를 고집했다. 특히 개인 보상 문제와 관련, 일본은 오히려 일본인이 한국에 두고 온 재산을 거론하며 이를 통해 우리가 주장하는 청구권의 일부는 변제됐다는 주장을 반복했다.

그러면서 일본은 5차 회담의 청구권 논의(1961년 1~5월)에서 우리의 청구권 요구에 대해 "증빙자료부터 이야기하자"는 몽니를 부렸다. 또 \'개인 베이스\'의 보상을 거론하면서 일본법에 의해 개인의 신청을 받아 일본 정부가 지급하겠다는 논리를 고집했다.

일본이 증빙 자료 및 개인 보상을 거론한 것은 우리 정부가 그런 자료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약점을 노린 일종의 협상 전략이었던 것으로 국내외 전문가들은 평가하고 있다. 특히 일본이 일본법에 따라 보상한다는 주장을 편 것은 국가간 협상이란 근본 틀을 무시한 태도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정 교수도 당시 "우리가 아직 식민지하에 있는지 아느냐"고 일본측을 반박했다.

그러면서 "국제법적으로 통상 거증(擧證) 의무는 주장하는 사람에게 있지만 이 경우에는 일본이 증거를 내놓아야 한다"면서 "그 이유를 내가 말할 필요가 있느냐. 자료는 일본이 다 갖고 있는 것 아니냐"고 따졌다.

그러나 일본은 이후에도 "과거를 따지는 것은 인정할 수 없다"는 태도로 일관했다.

정 전 차관은 "당시 수많은 난제 해결에 있어서 쌍방간 법이론적인 면에서 충분한 논의가 행해지지 않고 정치적으로 절충된 감이 없지 않다"면서도 "50년전의 일을 현재의 잣대로 비판하면 받아들이기 어려운 면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 "위안부 문제는 당시 거론되지 않았던 것"이라면서 "청구권 협정의 미해결 사안이 아니라 인도주의 차원에서 시효를 두지 않는 국제법적인 강행법규(Jus cogens) 위반 사안으로 다뤄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일영 전 차관 = 스위스 제네바 대학에서 국제법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뒤 서울대 법대 교수, 한일회담 대표, 외무부 차관, 제네바대표부ㆍ스위스ㆍ벨기에 대사 등을 지냈다. 국제법 분야의 이론과 현장 경험을 두루 갖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국내에 국제법 전문가가 사실상 전무하던 한일 협정 당시 전문위원과 협상 대표 일원으로 5차, 6차 회담(62년말까지 참석)에 참여하면서 일본의 주장에 대해 우리나라의 국제법적 대응 기조를 세우는데 기여를 했다.

이런 기여 등이 평가돼 63년 외무부 차관으로 발탁되기도 했다. 그는 현재도 국제법 문제와 관련해 정부에 자문하고 있다.

▲울산(86) ▲서울대 정치학과 ▲미국 조지타운대 및 영국 런던대 대학원 ▲ 스위스 제네바대 정치학 박사 ▲서울대 법대 교수 ▲한일회담 대표 ▲외무부 차관 ▲제네바ㆍ스위스ㆍ벨기에ㆍ프랑스 대사 ▲9ㆍ10대 국회의원 ▲국민대 총장 ▲세종연구소 소장

soleco@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2012/11/05 07:01 송고  
출처 : http://www.yonhapnews.co.kr/special/2012/11/02/1438010000AKR20121102094300043.HTML
 

 


Warning: Use of undefined constant php - assumed 'php' (this will throw an Error in a future version of PHP) in /home1/page87/public_html/kcfr20/skin/board/basic_book/view.skin.php on line 18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47건 6 페이지
회원 언론기고 및 출판 목록
번호 제목
297 <광화문 문화포럼> 정태익 / 동북아 국제질서 …
일자: 11-21 | 조회: 1263
2013-11-21
1263
296 <중도일보> 김현중 / '정글만리' 견문록
일자: 11-05 | 조회: 2234
2013-11-05
2234
295 <동아일보> 이병국 / 前대사 34명이 ‘개도국…
일자: 11-05 | 조회: 2139
2013-11-05
2139
294 <조선일보> 강대현 / 사모아에 묻힌 원양 선원…
일자: 11-05 | 조회: 1850
2013-11-05
1850
293 <국민일보> 김석우 / 한국사회 봉사정신 누가 …
일자: 11-05 | 조회: 1353
2013-11-05
1353
292 <대전일보> 김현중 / 재외동포는 귀중한 <…
일자: 11-05 | 조회: 1675
2013-11-05
1675
291 <매일경제> 백낙환 / 한-베트남 이젠 新동반자…
일자: 11-05 | 조회: 2096
2013-11-05
2096
290 <코리아헤럴드> 박상식 / Two differe…
일자: 11-05 | 조회: 1588
2013-11-05
1588
289 <인민일보> 박종선 / 중국경제 편승할 대중국 …
일자: 11-05 | 조회: 2023
2013-11-05
2023
288 <월간바둑> 서대원 / 인천에서 바둑 메달 경쟁…
일자: 11-05 | 조회: 1495
2013-11-05
1495
287 <중앙일보> 유주열 / [백가쟁명:유주열] 또 …
일자: 09-12 | 조회: 1661
2013-09-12
1661
286 <외교열전> 유광석 / 세계에서 처음으로…한미 …
일자: 08-29 | 조회: 2433
2013-08-29
2433
285 <MBN> 전상진 / 올림픽유치와 외교부의 역할
일자: 08-16 | 조회: 1619
2013-08-16
1619
284 <외교열전> 김태지 / '日침략사죄' 무라야마 …
일자: 08-16 | 조회: 2487
2013-08-16
2487
283 <외교열전> 최봉름 / 이라크서 맞은 두번의 전…
일자: 08-16 | 조회: 1724
2013-08-16
1724
282 <외교열전> 박인국 / 긴박했던 '천안함·연평도…
일자: 08-16 | 조회: 2754
2013-08-16
2754
281 <외교열전> 장재룡 / 北 오래 못간다 보고 …
일자: 08-16 | 조회: 2378
2013-08-16
2378
280 <외교열전> 신동원 / '북방외교 시초' 한ㆍ헝…
일자: 08-16 | 조회: 1631
2013-08-16
1631
279 <외교열전> 유병우 / `위안부 강제동원 인정'…
일자: 08-16 | 조회: 2668
2013-08-16
2668
278 <외교열전> 황장엽을 한국으로 한중협상 `막…
일자: 08-16 | 조회: 1534
2013-08-16
1534
277 <INEPA> 포르투갈 정부 강대현 국제교류증진…
일자: 01-21 | 조회: 2177
2013-01-21
2177
276 <외교열전> 일사천리'로 탄생한 남북 첫 유엔공…
일자: 11-30 | 조회: 2055
2012-11-30
2055
열람중 <외교열전> JFK가 박정희 방일 요구했다 /…
일자: 11-30 | 조회: 1843
2012-11-30
1843
274 <외교열전> 불법조업 막아라
일자: 10-30 | 조회: 2159
2012-10-30
2159
273 <국민일보> 시론-대선 후보들 외교전략 밝혀라 …
일자: 09-26 | 조회: 2154
2012-09-26
2154
272 <문화일보> 외교史전시관 설립 결심 / 권영민
일자: 08-16 | 조회: 2260
2012-08-16
2260
271 등산을 하면 행복해질 수 있습니다. / 최용삼
일자: 07-12 | 조회: 1588
2012-07-12
1588
270 <중앙일보> 콘도르가 된 8인의 영웅 / 박희권…
일자: 06-26 | 조회: 1879
2012-06-26
1879
269 <중앙일보> 동해를 부르는 ‘제3의 명칭’ / …
일자: 03-28 | 조회: 1666
2012-03-28
1666
268 <뉴데일리> 통상교섭본부에 박수 보낸다 / 이재…
일자: 03-21 | 조회: 1912
2012-03-21
1912
게시물 검색







한국외교협회 | 개인정보 보호관리자: 박경훈
E-mail: kcfr@hanmail.net

주소: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94길 33
TEL: 02-2186-3600 | FAX: 02-585-6204

Copyright(c) 한국외교협회 All Rights Reserved.
hosting by 1004p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