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 언론기고 및 출판





<매일경제> 손선홍 / 콜 前총리가 `獨통일의 아버지` 로 불리는 이유

페이지 정보

작성일2018-06-04 16:31 조회814회 댓글0건

본문

​콜 前총리가 `獨통일의 아버지` 로 불리는 이유
기사입력 2017.06.28 17:22:56 | 최종수정 2017.07.11 17:38:59

image_readtop_2017_433818_14986381762936810.jpg
1990년 10월 3일 독일은 평화 통일을 이룩했다. 독일의 평화 통일은 헬무트 콜 전 총리와 한스디트리히 겐셔 전 외무장관과 같은 뛰어난 정치 지도자들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45년의 분단을 청산하고 통일을 이루어 `독일 통일의 아버지`로 추앙받고 있는 콜 전 총리가 지난 16일 87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콜 전 총리는 통일에 국가 지도자의 역량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보여주었다.

첫째, 1989년 가을 서독으로 오고자 희망하는 동독 탈주민들을 모든 외교력을 동원하여 데려오며 통일의 발단을 마련했다. 콜 전 총리와 겐셔 전 외무장관의 적극적인 외교로 헝가리, 체코, 폴란드로 몰려든 동독 주민들이 서독으로 올 수 있었다. 이 결과 베를린 장벽을 붕괴시킨 동독 주민의 평화 혁명이 이루어졌고, 베를린 장벽 붕괴는 결정적인 통일의 발단이 되었다.

둘째, 베를린 장벽의 붕괴를 통일의 기회로 판단하고 추진했다는 점이다. 1989년 11월 28일 콜 전 총리는 `독일과 유럽 분단 극복을 위한 10개 방안`을 깜짝 발표하며 통일을 추진했다. 그러나 독일 통일 문제에 관여할 수 있었던 전승 4개국의 미하일 고르바초프 전 소련 공산당 서기장을 비롯하여 마거릿 대처 전 영국 총리와 프랑수아 미테랑 전 프랑스 대통령은 독일 통일을 거세게 반대했다. 이들의 반대로 불투명했던 통일은 조지 H W 부시 전 미국 대통령이 지지하며 가능했다. 콜 전 총리는 부시의 강력한 지지를 업고 통일을 추진했다.

셋째, 신속한 통일을 추진했다는 점이다. 콜 전 총리는 준비가 부족했고, 전승 4개국의 동의가 쉽지 않기 때문에 3~5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통일을 이루고자 했다. 그러나 계속되는 동독 주민들의 이주와 과도한 부채 등으로 동독의 제반 사정은 점점 나빠졌다. 소련 정세의 불안정으로 고르바초프 전 서기장의 장래도 불투명했다.

콜 전 총리는 동독을 조속히 안정시키고 고르바초프 재임 중 통일을 이루어야 한다는 판단에 신속한 통일로 선회했다. 콜 전 총리의 판단은 옳았다. 1991년 12월 말 고르바초프가 퇴진하고 소련이 해체되었는데, 점진적인 통일을 추진했더라면 통일을 장담할 수 없었다.

넷째, 통일에 따른 `대외적인 문제`를 서독이 전승 4개국과 함께 해결한 점이다. 전쟁을 일으킨 책임으로 독일 통일에는 미국, 영국, 소련, 프랑스 등 전승 4개국의 동의가 필요했다. 콜 전 총리는 통일 문제 협의에 독일이 반드시 참여해야 한다는 입장을 관철시켜 이들과 함께 `대외적인 문제`를 해결하여 통일을 이룩했다.

다섯째, 활발한 정상 외교로 전승 4개국의 지지를 얻어 통일을 이룬 점이다. 콜 전 총리는 1990년에만 부시 전 대통령(4회), 고르바초프 전 서기장(2회), 미테랑 전 대통령(3회), 대처 전 총리(1회)와의 양자 정상회담은 물론 유럽공동체(EC),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G7 정상회의 등을 통해 전승 4개국의 지지를 얻었다. 이러한 콜 전 총리의 노력으로 독일은 1990년 10월 3일 통일을 이룩할 수 있었다.

독일 통일은 통일에 국가 지도자 역량의 중요성을 보여준 좋은 사례다. 우리의 통일이 언제,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것인가 예상하기 쉽지 않다. 통일의 기회가 언제 오더라도 통일에 대한 역량을 갖추는 준비를 해야 한다. 국민이 공감할 수 있는 통일 정책을 수립하고 국민을 설득하여 지지를 얻으며, 기회가 된다면 통일을 이루는 국가 지도자의 덕목도 중요하다.

1871년 독일 통일을 이룩한 비스마르크는 "역사 속을 지나가는 신의 옷자락을 놓치지 않고 붙잡는 것이 정치가의 임무"라며 지도자의 책무를 강조했다. 한반도의 분단과 긴장이 계속되면서 국가 지도자의 책임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손선홍 충남대 평화안보대학원 특임교수]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Warning: Use of undefined constant php - assumed 'php' (this will throw an Error in a future version of PHP) in /home1/page87/public_html/kcfr20/skin/board/basic_book/view.skin.php on line 18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47건 5 페이지
회원 언론기고 및 출판 목록
번호 제목
327 <경향신문> 정기종 / 한국은 ‘홀로서기’를 할 준비가…
일자: 06-04 | 조회: 1011
2018-06-04
1011
326 <통일한국> 손선홍 / 통일과정의 논쟁점에 대비하고 있…
일자: 06-04 | 조회: 812
2018-06-04
812
325 <코리아헤럴드> 박상식 / Three threats t…
일자: 06-04 | 조회: 989
2018-06-04
989
324 <서울신문> 이병국 / 엉터리 계획서 쓴 ‘콜럼버스 공…
일자: 06-04 | 조회: 937
2018-06-04
937
열람중 <매일경제> 손선홍 / 콜 前총리가 `獨통일의 아버지`…
일자: 06-04 | 조회: 815
2018-06-04
815
322 <코리아헤럴드> 박상식 / North Korea and…
일자: 06-04 | 조회: 866
2018-06-04
866
321 <코리아헤럴드> 박상식 / South Korea-US …
일자: 06-04 | 조회: 808
2018-06-04
808
320 <조이문학> 이경구 / 북소리...
일자: 06-04 | 조회: 956
2018-06-04
956
319 <코리아헤럴드> 박상식 / The two Koreas …
일자: 06-04 | 조회: 738
2018-06-04
738
318 <세계일보> 한태규 / 세계초대석 인터뷰
일자: 05-30 | 조회: 1314
2018-05-30
1314
317 <매일경제> 손선홍 / 북한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
일자: 05-30 | 조회: 841
2018-05-30
841
316 <코리아헤럴드> 박상식 / Korea’s nationa…
일자: 05-30 | 조회: 1037
2018-05-30
1037
315 <코리아헤럴드> 박상식 / How to deal wit…
일자: 05-30 | 조회: 1228
2018-05-30
1228
314 <대전일보> 김현중 / 한류 위기 ... 제2의 싸이가…
일자: 05-30 | 조회: 1393
2018-05-30
1393
313 <통일신문> 정태익 / 안보위기를 통일의 기회로…
일자: 10-19 | 조회: 1483
2016-10-19
1483
312 <문화일보> 송종환 / 파키스탄의 ‘인더스강 기…
일자: 11-09 | 조회: 2413
2015-11-09
2413
311 <조선일보> 정태익 / 톨스토이, 이토 히로…
일자: 12-08 | 조회: 4255
2014-12-08
4255
310 <조선일보> 정태익 / 사라진 헤이그 밀사의 후…
일자: 12-08 | 조회: 3659
2014-12-08
3659
309 <중앙일보> 송민순 / 전시작전권 전환은 통일과…
일자: 11-13 | 조회: 2957
2014-11-13
2957
308 <mk 뉴스> 임홍재 / 저탄소 지구를 향한 유…
일자: 09-23 | 조회: 2088
2014-09-23
2088
307 <조선일보> 정태익 / 사라진 헤이그 밀사 후손…
일자: 08-18 | 조회: 4016
2014-08-18
4016
306 <조선일보> 정태익 / 고르바초프 라이사를 잃…
일자: 05-20 | 조회: 4163
2014-05-20
4163
305 <조선일보> 정태익 / 장쩌민, 來而不往 非…
일자: 04-10 | 조회: 4029
2014-04-10
4029
304 <조선일보> 정태익 / 텍사스 출신 부시, …
일자: 03-03 | 조회: 3397
2014-03-03
3397
303 <조선일보> 정태익 / 청와대 출근 첫날 자정 …
일자: 03-03 | 조회: 3442
2014-03-03
3442
302 <조선일보> 정태익 / 유성환의원 발언으로 미국…
일자: 12-30 | 조회: 3787
2013-12-30
3787
301 <조선일보> 정태익 / 1994년 가을 대사관저…
일자: 11-27 | 조회: 1374
2013-11-27
1374
300 <조선일보> 정태익 / 한국-이집트 극적인 수교…
일자: 11-27 | 조회: 1427
2013-11-27
1427
299 <광화문 포럼> 정태익 / 한반도 정세의 대전환…
일자: 11-27 | 조회: 1500
2013-11-27
1500
298 <한국?파키스탄 친선협회> 오재희 / 한국?파키…
일자: 11-22 | 조회: 1898
2013-11-22
1898
게시물 검색







한국외교협회 | 개인정보 보호관리자: 박경훈
E-mail: kcfr@hanmail.net

주소: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94길 33
TEL: 02-2186-3600 | FAX: 02-585-6204

Copyright(c) 한국외교협회 All Rights Reserved.
hosting by 1004p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