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 언론기고 및 출판





<아시아경제> 송금영 / 올해도 북핵문제 해결 난망

페이지 정보

작성일2020-01-03 15:26 조회657회 댓글0건

본문

[인터뷰]송금영 전 대사 "올해도 북핵문제 해결 난망"

 
 

국제사회 복잡해진 셈법에 '우크라이나식 해법' 안먹혀

국제사회 공조와 UN의 경제제재가 북한을 협상테이블로 이끌 것


2020010210111675008_1577927476.jpg
▲송금영 전 대사

 

[아시아경제 권재희 기자] 북한이 핵 및 ICBM시험 재개 가능성을 내비치며 기존 대북 전략에 제동이 걸렸다. 과거 '우크라이나식 해법'이 북핵 문제의 실마리로 떠오르기도 했으나, 북한을 비롯한 주변국들의 셈법이 복잡해진 지금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는 지적이다.


1990년 제 24회 외무고시에 합격으로 외교부에 입부해 미·소간 냉전 종식 후 러시아를 비롯 구소련 국가들에서 CIS업무에 종사한 송금영 전 대사는 "북한의 핵 폐기를 이끌어내기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송 전 대사는 러시아를 비롯한 한반도 둘러싼 국제정세 전문가로 통한다.


송 전 대사는 "북핵문제 해법이 더욱 복잡해졌다"고 평가하면서 "북한을 협상 테이블로 이끌어 낼 수 있는건 미·중·러의 3각 공조체제와 UN의 경제제재 뿐"이라고 평가했다.


구 소련이 해체되면서 1900기의 핵무기를 보유하게 된 우크라이나는 수년에 걸쳐 미국과 러시와와의 협상을 통해 핵무기를 러시아에 자진양도키로 합의한 바 있다. 이 과정에서 우크라이나는 핵 포기 대가로 영토에 대한 불가침 보장, 경제원조 등을 요구했고, 이러한 조건이 과거 북한이 북·미·중 3자회담에서 제안한 것과 비슷해 '우크라이나식 해법'이 대안으로 떠오르기도 했다.


하지만 송 전 대사는 더 이상 우크라이나식 해법이 유효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송 전 대사는 "우선 우크라이나의 경우 미국과 러시아간 공통의 이익이 있었기에 상호 공조가 가능했지만, 오늘날에는 미·중간 패권 경쟁으로 양국간 상호 공조가 어렵다"면서 "오히려 북한은 과거 우크라이나와 리비아의 사례를 통해 '핵 보유'만이 해법이라는 교훈을 얻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과거 우크라이나는 핵 포기 조건으로 러시아로부터 안전보장 약속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2014년 크림반도를 무력합병 한 바 있다. 리비아 역시 2003년 핵 개발을 포함한 대량파괴무기 폐기를 선언하며 국제사회의 칭송을 받았지만, 이후 카다피는 서방 국가들의 지원을 받은 반군에 의해 비참한 최후를 맞이했다.


송 전 대사는 "이러한 사례들을 통해 북한은 되레 핵을 보유하는 것만이 '종이호랑이'로 전락하지 않는 길임을 깨달았을 것"이라며 "북한에게 핵은 정치적으로도 안전보장을 강화하는 도구인 동시에 경제적 토대를 닦기 위해서도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송 전 대사는 "이러한 북한에게 핵을 버리고 국제사회로 나오라는 것은 대화를 하지 않겠다는 얘기"라고 덧붙였다.


북한을 둘러싼 주변국들의 셈법이 복잡해지며 상호 공조가 어려워진 점도 북핵 문제를 더욱 어렵게 하는 요인이라고 송 전 대사는 지적했다.


송 전 대사는 "우크라이나 핵무기 폐기의 경우 유엔안보리 5대 상임이사국의 일치된 입장과 적극적인 공조체제 구축이 결정적 역할을 했다"며 "하지만 이미 중국과 러시아는 북한에 대한 유엔 안보리 제재 완화를 요구했고, 이에 비추어 볼 때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하더라도 추가적인 유엔 안보리 제재에 찬성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송금영 전 대사 약력>


-동아대학교 정치외교학 학사, 동 대학원 정치외교학 석사

-1990년 제24회 외무고시 합격

-1990년대 초 미소간 냉전 종식된 후 러시아 서기관을 시작으로 러시아 CIS과장 역임. 28년간 주로 러시아와 CIS업무에 종사.

-이후 우크라이나, 카자흐스탄, 아일랜드 대사관, 미국 LA 총영사관 근무

-2018년 주탄자니아 대사로 퇴임

권재희 기자 jayful@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Warning: Use of undefined constant php - assumed 'php' (this will throw an Error in a future version of PHP) in /home1/page87/public_html/kcfr20/skin/board/basic_book/view.skin.php on line 18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47건 2 페이지
회원 언론기고 및 출판 목록
번호 제목
417 [신간] 손상하 / 무슨 사연이 있어 왔는지 들어나 봅…
일자: 07-10 | 조회: 812
2020-07-10
812
416 <미래한국> 송종환 / [ 6·25전쟁 70주년 연속기…
일자: 07-07 | 조회: 1344
2020-07-07
1344
415 <KIMS Periscope> 정해문 / 코로나 사태와…
일자: 07-03 | 조회: 468
2020-07-03
468
414 <문화일보> 6.25 바르게 가르칠 국민운동 필요하다
일자: 06-29 | 조회: 540
2020-06-29
540
413 [신간] 최재철 / 기후협상일지 (박영사, 2020.5…
일자: 06-19 | 조회: 501
2020-06-19
501
412 [신간] 백범흠 / 지식인을 위한 한중일 4000년 (…
일자: 06-12 | 조회: 1615
2020-06-12
1615
411 [신간] 박병환 / 한국 외교에는 왜 러시아가 없을까?…
일자: 06-08 | 조회: 632
2020-06-08
632
410 <내일신문> 박병환 / 북한 변화 가능성과 러시아의 선…
일자: 05-18 | 조회: 611
2020-05-18
611
409 [신간] 조현 / 한국 대사의 인도 리포트 (공감, 2…
일자: 05-13 | 조회: 658
2020-05-13
658
408 [신간] 권세중 / 북한 에너지, 미래를 위한 협력과 …
일자: 04-24 | 조회: 657
2020-04-24
657
407 <내일신문> 박병환 / 국제유가 러시아 손에 달렸다
일자: 04-06 | 조회: 660
2020-04-06
660
406 <프레시안> 박병환 / 러시아가 필요하다 (2020.3…
일자: 03-23 | 조회: 793
2020-03-23
793
405 <KIMS Periscope> 김재범 / 국군 전시작전…
일자: 03-23 | 조회: 719
2020-03-23
719
404 협회장, 매일경제TV 인터뷰 (2020.3.6)
일자: 03-09 | 조회: 582
2020-03-09
582
403 [신간] 임한택 / 국제법 이론과 실무 (박영사, 20…
일자: 03-05 | 조회: 671
2020-03-05
671
402 <중앙일보> 연상모 / 중국 현대사 관통하는 마오쩌둥식…
일자: 02-19 | 조회: 1342
2020-02-19
1342
401 [신간] 김석규 / 외교관 40 (예지출판사, 2019…
일자: 02-18 | 조회: 947
2020-02-18
947
400 협회장, 내일신문 인터뷰 (2020.2.13)
일자: 02-13 | 조회: 567
2020-02-13
567
399 협회장, 서울경제 인터뷰 (2020.2.7)
일자: 02-13 | 조회: 515
2020-02-13
515
398 협회장, 한국경제 인터뷰 (2020.1.20)
일자: 02-13 | 조회: 502
2020-02-13
502
397 협회장, 문화일보 인터뷰 (2020.1.8)
일자: 02-13 | 조회: 476
2020-02-13
476
396 [신간] 소진철 / 내가 본 大百濟 (주류성출판사, 2…
일자: 02-04 | 조회: 607
2020-02-04
607
395 <내일신문> 이선진 / 2020년 아세안 경제를 주목하…
일자: 01-16 | 조회: 502
2020-01-16
502
394 <내일신문> 박병환 / 러시아는 북한과 동맹 관계는 아…
일자: 01-06 | 조회: 606
2020-01-06
606
열람중 <아시아경제> 송금영 / 올해도 북핵문제 해결 난망
일자: 01-03 | 조회: 658
2020-01-03
658
392 <내일신문> 박병환 / 한국의 러시아 혐오증과 공포증
일자: 11-29 | 조회: 887
2019-11-29
887
391 [신간] 한동만 / 대한민국의 신미래전략, 아세안이 답…
일자: 11-20 | 조회: 755
2019-11-20
755
390 [국립외교원 아세안인도연구센터] 한-아세안 외교 30년…
일자: 11-18 | 조회: 804
2019-11-18
804
389 <내일신문> 박병환 / 4차 산업혁명 파트너가 될 수 …
일자: 11-04 | 조회: 941
2019-11-04
941
388 <내일신문> 박병환 / 신북방정책도 용두사미 되나?
일자: 10-11 | 조회: 696
2019-10-11
696
게시물 검색







한국외교협회 | 개인정보 보호관리자: 박경훈
E-mail: kcfr@hanmail.net

주소: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94길 33
TEL: 02-2186-3600 | FAX: 02-585-6204

Copyright(c) 한국외교협회 All Rights Reserved.
hosting by 1004p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