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 언론기고 및 출판





8월에 돌아보는 이념 분열 백 년/이홍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2011-05-10 19:24 조회1,284회 댓글0건

본문

100년 전 일본에 나라를 강탈당했던 것도 8월이요, 35년 후 일제의 굴레에서 해방된 날도 8월이었다. 이와 같이 우리 민족이 경험했던 집단적인 굴욕감과 벅찬 감격을 동시에 되새겨 볼 수 있는 8월로 들어섰다. 그러나 지금 우리는 민족 통일이란 풀리지 않는 숙제에 묶인 채 그 어려운 숙제를 풀어 나가야 할 주체인 한국 사회의 분열증과 파편화의 심각성을 실감하고 있다.

우리 사회 내부의 분열은 지역·계층·세대·정당 등 여러 차원에서 그 원인을 찾아볼 수 있다. 그 가운데 가장 심각하고 지속적인 대결의 원인이라면 지난 한 세기에 걸쳐 심화된 이념의 분열을 꼽아야 할 것이다. 근자에 탈(脫)이념을 내세우며 실용주의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경향도 있지만 그것은 한국 사회가 겪고 있는 진통의 궁극적 원인을 덮어 버리려는 우(愚)를 범할 뿐이다. 인간은 국가나 공동체를 생각할 때 우선적으로 보편적 기준을 찾게 되며 나라가 어려워질수록 그 규범적 기준에 구체적 의미를 부과하는 이념의 법칙을 잊어서는 안 되겠다.

수천 년 지켜온 민족의 독립과 518년을 유지한 조선왕조의 주권을 한꺼번에 상실한 충격 속에서 추진된 독립운동은 폐쇄성을 탈피하고 세계사의 흐름에 동참해야 되겠다는 각성과 더불어 ‘어떤 나라를 새롭게 만들어 갈 것인가’에 대한 선택의 작업이었다. 그것은 곧 새로운 정치이념의 선택인 동시에 새 정치체제의 모델을 찾는 일이었다. 프린스턴대 출신의 이승만 박사가 1919년 3·1운동에 이어 상하이(上海)에서 선포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대통령으로 추대된 것은 독립운동의 주류가 선택한 새 나라의 이념과 모델이 어떤 것인지를 극적으로 보여 줬다. 즉 국민의 자유로운 선거를 바탕으로 운영되는 민주주의와 서구 민주국가들이 바로 그 이념이며 모델이었다.

한편 1917년 레닌이 주도해 제정러시아 체제를 단숨에 붕괴시킨 볼셰비키혁명이 우리의 독립운동에서 중요한 또 하나의 이념과 체제의 모델로 등장했다. 노동계급에 의한 혁명과 독재를 주창한 마르크스·레닌주의와 공산당 독재체제를 구축한 소비에트연방이 새로운 모델로 민주국가 모델과 대치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독립운동기의 두 흐름의 대결은 제2차 세계대전 후 동서 냉전의 주역이 된 미국과 소련이 한반도에서 38선을 경계로 남과 북에 진주하게 되면서 남북 두 체제와 이념의 대결 구도로 오늘에 이르게 됐다.

해방 정국의 혼란으로부터 6·25전쟁을 거쳐 천안함 사태에 이르기까지 남북한이 겪어 온 우여곡절은 쉽사리 정리하기 어려운 역사의 대하드라마였다. 다만 그 결과는, 특히 남과 북이 도달한 오늘의 실상은 선명하게 그들의 상대적 위치를 부각시키고 있다. 한국은 세계사의 주류에 합류하는 데 상당한 성공을 거뒀음을 자타가 공인하고 있다. 반면 북한은 세계사의 흐름은 차치하고 러시아·중국·베트남 등 공산당이 통치하는 국가들의 변화 과정과 견줘 봐도 완벽한 유일 예외 체제로 남아 정치적 경직화는 물론 경제적 파탄으로 신음하고 있다. 독립운동기에 꿈꾸던 새 나라의 이념과 체제는 실종되고 왕조적 권력 구조와 군국주의적 통제 시스템으로 주민들의 복지 수준을 위험 수위에 매어 놓고 있다. 따라서 오늘의 한국 사회에서 북한 체제와 이념을 이상적인 모델로 생각하는 사람은 찾아보기 어렵게 됐다.

그렇다면 왜 한국 사회에서 이념적 분열의 저변에 아직도 남북 대결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는가. 그것은 과거사 속에서의 언행과 인연들에 얽매여 버릴 수 있는 인간의 속성과 지(知)적 경직성으로 말미암은 지성의 저속 운행이 역사 진전의 빠른 속도를 뒤따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하겠다. 이러한 지적 경직성의 한계는 이른바 보수와 진보 양쪽에서 찾아볼 수 있다. 보수의 궁극적 목표가 인간과 민족사회의 기본 가치를 보전하는 데 있다면 북한 동포의 가장 기본적 인권, 즉 그들의 복지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보수가 누구보다 앞장서야 할 것이다. 이러한 공동체 규범의 실천 사례는 독일 통일의 경우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진보의 경우 한반도의 특수성을 내세워 국제적 진보 진영의 보편적 원칙을 외면하는 당혹스러운 함정에서 하루속히 빠져나와야 한다. 그리고 인권옹호·반독재·반핵이란 원칙을 확고히 천명해야 분배의 정의를 비롯한 진보적 목표에 무게를 실을 수 있을 것이다.

기성세대들이, 특히 교조화된 신념 안에 갇혀 있는 이념론자들이 자신들의 입장을 수정하기 어렵다면 적어도 젊은 세대들에게나마 그들이 추구하고 싶은 이념과 정치체제의 모델을 넓은 지구촌에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권장하는 아량을 베풀어 주기 기대해 본다.

이홍구 전 총리·본사 고문

중앙일보/2010년 8월 2일

Warning: Use of undefined constant php - assumed 'php' (this will throw an Error in a future version of PHP) in /home1/page87/public_html/kcfr20/skin/board/basic_book/view.skin.php on line 18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47건 10 페이지
회원 언론기고 및 출판 목록
번호 제목
177 잘 주는 것도 나라 실력이다 / 김승호
일자: 05-10 | 조회: 1565
2011-05-10
1565
176 역사의 주류와 역류의 갈림길에서 / 이홍구
일자: 05-10 | 조회: 1408
2011-05-10
1408
175 외교부의 빛과 그림자 / 이강원
일자: 05-10 | 조회: 1708
2011-05-10
1708
174 Four powers on state of world …
일자: 05-10 | 조회: 1293
2011-05-10
1293
173 Looking back on Korean history…
일자: 05-10 | 조회: 1791
2011-05-10
1791
172 새 대북정책의 모색 / 윤영관
일자: 05-10 | 조회: 1309
2011-05-10
1309
171 필리핀 대통령들의 6·25전쟁 인연 / 이홍구
일자: 05-10 | 조회: 1582
2011-05-10
1582
170 우리 외교를 살리는 길 / 박동순
일자: 05-10 | 조회: 2030
2011-05-10
2030
169 G20 정상회의 의장국의 영예와 부담 / 이홍구
일자: 05-10 | 조회: 1364
2011-05-10
1364
168 포츠머스 조약의 교휸 / 김정원
일자: 05-10 | 조회: 1543
2011-05-10
1543
167 안보위기 앞의 한국 사회 / 윤영관
일자: 05-10 | 조회: 1154
2011-05-10
1154
166 핵무기 없는 세상과 한민족의 운명/이홍구
일자: 05-10 | 조회: 1421
2011-05-10
1421
165 남북통일과 ‘융합외교’ /정태익
일자: 05-10 | 조회: 1338
2011-05-10
1338
164 China and N. Korea vs. U.S. an…
일자: 05-10 | 조회: 1396
2011-05-10
1396
163 한국전 포로협회에 관심 가져주길/손훈
일자: 05-10 | 조회: 1439
2011-05-10
1439
162 초정파적 외교안보 협력기구를/윤영관
일자: 05-10 | 조회: 1225
2011-05-10
1225
열람중 8월에 돌아보는 이념 분열 백 년/이홍구
일자: 05-10 | 조회: 1285
2011-05-10
1285
160 주민 뜻 무시하는 개발 안된다/신두병
일자: 05-10 | 조회: 1406
2011-05-10
1406
159 리비아 감동시킬 외교를/김승호
일자: 05-10 | 조회: 1471
2011-05-10
1471
158 We didn’t do so bad at the UN/…
일자: 05-10 | 조회: 1122
2011-05-10
1122
157 안보리 의장성명에 중·러 동참한게 성과/박수길
일자: 05-10 | 조회: 1468
2011-05-10
1468
156 선진국 민주정치의 시련이 주는 교훈/이홍구
일자: 05-10 | 조회: 1239
2011-05-10
1239
155 China and N.K. vs. U.S. and S.…
일자: 05-10 | 조회: 1227
2011-05-10
1227
154 이념 과잉의 시대를 개탄한다/윤영관
일자: 05-10 | 조회: 1214
2011-05-10
1214
153 Reflections on the Korean War/…
일자: 05-10 | 조회: 1495
2011-05-10
1495
152 공동체 시대/라종일
일자: 05-10 | 조회: 1335
2011-05-10
1335
151 6·25의 회상, 월드컵의 흥분, 통일한국의 꿈/이홍구
일자: 05-10 | 조회: 1226
2011-05-10
1226
150 북한 급변사태를 통일 기회 삼아야/김석우
일자: 05-10 | 조회: 1367
2011-05-10
1367
149 전교조의 정체성 문제/이인호
일자: 05-10 | 조회: 1351
2011-05-10
1351
148 아직도 먼 일본의 '새로운 시작'/이주흠
일자: 05-10 | 조회: 1387
2011-05-10
1387
게시물 검색







한국외교협회 | 개인정보 보호관리자: 박경훈
E-mail: kcfr@hanmail.net

주소: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94길 33
TEL: 02-2186-3600 | FAX: 02-585-6204

Copyright(c) 한국외교협회 All Rights Reserved.
hosting by 1004p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