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 언론기고 및 출판





선진국 민주정치의 시련이 주는 교훈/이홍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2011-05-10 19:22 조회1,238회 댓글0건

본문

선진 민주국가 지도자들이 인기 하락, 선거 패배, 리더십의 교체 등 정치적 불안정에 휩싸이고 있다. 오바마 미국 대통령, 메르켈 독일 총리,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 등 비교적 높은 지지도를 유지해 오던 지도자들의 정치기반이 흔들리고 있다. 브라운 영국 총리는 총선에서 패배했고 일본의 자민당 50년 장기집권을 단숨에 무너뜨리고 등판했던 민주당 정권의 하토야마 총리도 몇 달 만에 자리를 내놓았다. 이렇듯 시장경제와 민주정치의 선진국들 사이에서 만연하고 있는 리더십의 위기는 어디로부터 말미암은 것인가.

정치적 불안정의 가장 직접적 원인은 물론 세계를 휩쓸고 있는 금융위기라고 쉽게 지적할 수 있다. 이번 금융 지진은 그 진원지부터가 선진국 금융시장의 심장부인 월가(街)였고, 순식간에 전 세계로 파급된 금융 파탄의 최대 피해자 역시 선진국 경제였다. 따라서 위기 수습을 위한 국제적 대처 노력도 선진국 중심으로 추진될 수밖에 없었다. 한마디로 이번 국제 금융위기가 선진 자유시장 경제의 심각한 취약점을 노출시켰다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선진 시장경제의 위기 증상에 대한 진단과 분석은 이미 홍수를 이루고 있다. 거대 금융회사의 파산과 수많은 기업의 도산, 계속되는 실업률 증가, 경제성장의 둔화, 복지수준의 저하 등은 특별한 연구를 거치지 않더라도 쉽게 식별되는 위기 증상들이다. 이에 대한 대처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국가에 의한 강력한 시장개입이라 할 수 있다. 기업에 대한 구제금융, 세금감면, 금리인하, 실업수당 및 복지지원 증가 등 각국 정부가 취할 수 있는 위기 대처 정책의 폭과 리스트는 대체로 유사한 편이다. 금융위기 극복을 위한 경제 및 사회정책과 전략의 선택에 대해서는 광범위한 논의가 계속되겠지만 무엇보다도 필요한 것은 이러한 경제위기가 초래하는 정치적 압력은 무엇이며 그것이 민주 정치체제의 성격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에 대한 심도 있는 상황 인식이다. 경제위기 속에서 민주정치의 안정적 운영은 바로 우리 한국도 당면하고 있는 초미의 관심사이기 때문이다.

심각한 경제위기는 국민의 재산 가치를 잠식하고 기업의 파탄과 대규모 실업 사태를 유발하며 광범위한 대중의 불만을 초래하게 되니 결국 정부에 대한 결정적 시장 개입과 구제정책 집행을 요구하게 된다. 이렇듯 급박한 위기 상황에 국가체제가 얼마나 신속하고 능률적으로 대처할 수 있느냐 하는 시험은 곧바로 민주정치의 건전성, 즉 생존 가능성과 직결될 수 있다.

첫째, 대부분의 경제위기 수습책은 우선 발등의 급한 불부터 끄고 본다는, 그리고 가장 강력한 압력집단의 요구에 부응할 수밖에 없다는 상황 논리에 밀려 국가운영의 장기적 비전은 접어둔 채 단기적인 정치 파탄을 막는 데만 몰두하게 된다. 둘째, 그러한 임기응변의 수습책들은 균형 잡힌 발전정책의 희생과 비용을 수반할 수밖에 없으며 결국 국가부채의 급증으로 이어져 장기적으로는 민주 정치체제가 치명적 부담을 안게 될 뿐이다.

이른바 민주정치의 선진국에서도 경제위기의 여파로 정치적 불안정이 심화되는 현상을 리더십의 부실과 민주정치가 지닌 구조적 취약성으로 설명하고 있다. 우선 오늘의 선진 민주사회에서는 국민에게 장기적 비전을 제시하고 응분의 희생을 요구할 수 있는 지도자의 출현을 기대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또한 즉각적 구제나 지원을 요구하는 상당수 국민의 요구를 억제하고 오히려 국가의 장기적 발전을 위한 희생을 강조하면서도 선거에서 승리할 수 있는 민주 정치제도가 현실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도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한편, 포퓰리즘의 압력을 수용하면서도 이를 국가적 비전과 연계시키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국민의식에 내재하는 내셔널리즘에 호소하는 것이란 입장도 있다. 그러나 그것은 경제위기 극복과 대중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독재에 대한 향수나 이른바 국가자본주의에 대한 매력을 떨쳐버리지 못한 채 민주주의의 고사(枯死)를 자초하는 도박이 될 것이다.

산업화와 민주화에 성공하고, 선진화의 문턱에 서게 된 것에 대해 자부심을 갖고 있는 우리로서는 선진 민주국가들이 겪고 있는 진통을 예사롭지 않은 눈으로 지켜보고 있다. 다만 우리가 꼭 기억해야 될 것은 선진국들이 경제위기가 수반한 정치적 격랑에 휩쓸리면서도 국가적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민주정치의 제도화, 특히 절차의 제도화가 완벽하기 때문이란 사실이다. 우리 정치는 날마다 절차적 규범과 규칙이 혼미한 가운데 민주정치의 위기를 외면한 채 위험한 이전투구(泥田鬪狗)로 빠져들고 있지는 않은지 점검하고 넘어갈 시점이다.

이홍구 전 총리·본사 고문  

중앙일보/2010년 7월 12일

Warning: Use of undefined constant php - assumed 'php' (this will throw an Error in a future version of PHP) in /home1/page87/public_html/kcfr20/skin/board/basic_book/view.skin.php on line 18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47건 10 페이지
회원 언론기고 및 출판 목록
번호 제목
177 잘 주는 것도 나라 실력이다 / 김승호
일자: 05-10 | 조회: 1564
2011-05-10
1564
176 역사의 주류와 역류의 갈림길에서 / 이홍구
일자: 05-10 | 조회: 1407
2011-05-10
1407
175 외교부의 빛과 그림자 / 이강원
일자: 05-10 | 조회: 1708
2011-05-10
1708
174 Four powers on state of world …
일자: 05-10 | 조회: 1293
2011-05-10
1293
173 Looking back on Korean history…
일자: 05-10 | 조회: 1790
2011-05-10
1790
172 새 대북정책의 모색 / 윤영관
일자: 05-10 | 조회: 1309
2011-05-10
1309
171 필리핀 대통령들의 6·25전쟁 인연 / 이홍구
일자: 05-10 | 조회: 1582
2011-05-10
1582
170 우리 외교를 살리는 길 / 박동순
일자: 05-10 | 조회: 2030
2011-05-10
2030
169 G20 정상회의 의장국의 영예와 부담 / 이홍구
일자: 05-10 | 조회: 1364
2011-05-10
1364
168 포츠머스 조약의 교휸 / 김정원
일자: 05-10 | 조회: 1543
2011-05-10
1543
167 안보위기 앞의 한국 사회 / 윤영관
일자: 05-10 | 조회: 1153
2011-05-10
1153
166 핵무기 없는 세상과 한민족의 운명/이홍구
일자: 05-10 | 조회: 1421
2011-05-10
1421
165 남북통일과 ‘융합외교’ /정태익
일자: 05-10 | 조회: 1338
2011-05-10
1338
164 China and N. Korea vs. U.S. an…
일자: 05-10 | 조회: 1396
2011-05-10
1396
163 한국전 포로협회에 관심 가져주길/손훈
일자: 05-10 | 조회: 1439
2011-05-10
1439
162 초정파적 외교안보 협력기구를/윤영관
일자: 05-10 | 조회: 1225
2011-05-10
1225
161 8월에 돌아보는 이념 분열 백 년/이홍구
일자: 05-10 | 조회: 1284
2011-05-10
1284
160 주민 뜻 무시하는 개발 안된다/신두병
일자: 05-10 | 조회: 1406
2011-05-10
1406
159 리비아 감동시킬 외교를/김승호
일자: 05-10 | 조회: 1471
2011-05-10
1471
158 We didn’t do so bad at the UN/…
일자: 05-10 | 조회: 1122
2011-05-10
1122
157 안보리 의장성명에 중·러 동참한게 성과/박수길
일자: 05-10 | 조회: 1467
2011-05-10
1467
열람중 선진국 민주정치의 시련이 주는 교훈/이홍구
일자: 05-10 | 조회: 1239
2011-05-10
1239
155 China and N.K. vs. U.S. and S.…
일자: 05-10 | 조회: 1226
2011-05-10
1226
154 이념 과잉의 시대를 개탄한다/윤영관
일자: 05-10 | 조회: 1214
2011-05-10
1214
153 Reflections on the Korean War/…
일자: 05-10 | 조회: 1494
2011-05-10
1494
152 공동체 시대/라종일
일자: 05-10 | 조회: 1335
2011-05-10
1335
151 6·25의 회상, 월드컵의 흥분, 통일한국의 꿈/이홍구
일자: 05-10 | 조회: 1226
2011-05-10
1226
150 북한 급변사태를 통일 기회 삼아야/김석우
일자: 05-10 | 조회: 1367
2011-05-10
1367
149 전교조의 정체성 문제/이인호
일자: 05-10 | 조회: 1350
2011-05-10
1350
148 아직도 먼 일본의 '새로운 시작'/이주흠
일자: 05-10 | 조회: 1387
2011-05-10
1387
게시물 검색







한국외교협회 | 개인정보 보호관리자: 박경훈
E-mail: kcfr@hanmail.net

주소: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94길 33
TEL: 02-2186-3600 | FAX: 02-585-6204

Copyright(c) 한국외교협회 All Rights Reserved.
hosting by 1004pr